티스토리 뷰
10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rate 의 변화에 많은 이들에게 힘겨운 주말이 되었을 것이라 판단한다.
이미 많은 이들이 Dow의 움직임과 Treasury bond 움직임에 Short을 Biding 하였기에
그리고 그동안의 힘겨운(?) 상승에 대한 Short parties 에 투자에 대한 결과도 필요한 상황이다.
이에 재차
상승을 바라보는 이들은
1. 기업들의 영업이익 개선(미, 한, 유)
2. 아직까지 안정권인 장단기 금리차
3. 유동자금의 Big Rotation의 움직임 X
하락을 바라보는 이들은
1. 차익 Biding parties 의 움직임
2. 금리 상승으로 인한 유동성 축소 가속도의 초석
3. 원자재값 상승으로 향후 영업이익 축소
물론 두 Parties 모두 어느정도 신빙성을 가지고 있다.
하지만 두가지의 측면만 강조하기에는 많은 반대 시각이 존재한다.
이에 우리가 바라봐야 할 것은
상승과 하락이 아닌
새로운 투자자산의 등장일지 아니면 기존의 추세에 대한 반증인지에 대한 생각까지
병행해야 할 듯 하다.
그리고 바라본 장단기 금리차의 하향화 하지만 아직까지 bumping effect area 에 여유분은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
폭락의 경제학에서 우리의 시선이 Dow 에 빠져드는 월요일부터
새로운 해자가 등장할 가능성을 열어두자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Peru
- 멍키
- 과세율
- 사이먼
- 파킹클라우드
- 효성첨단소재
- 킥 고잉
- 주차사업
- 왜
- 카카오주차
- 인공췌장
- 홍석화
- yergin
- 결성기간
- 9+
- 페루
- 결성방법
- 청년고용율
- 배달학원
- 나인투원
- 마추 픽추
- 개인투자조합
- Dow index
- 쿠바 / 바라데로
- 알톤 스포츠
- 바라대로
- 예긴
- daniel yergin
- 장단기 금리차
- 모두의주차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